가족구성원이 돌아가신 후 고인을 기리기 위해 가족들끼리 모여 49재라는 의식을 진행하게 됩니다. 불교에서 나온 49재의 의미와 돌아가신날로부터 어느날이 49재인지에 대해서 알기쉽게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49재 의미

 

49재는 고인이 돌아가신 일을 기준으로 49일 후에 지내는 제사를 의미합니다.

원래 대승 불교식 장례의식으로 고인이 돌아가신 후 7일마다 7번씩 지내는 재라고 해서 칠칠일, 칠칠재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고인의 사망날짜 기준으로 7일씩 텀을 두어 7일차 초재일, 14일차  2재일, 21일차 3재일, 28일차 4재일, 35일차 5재일, 42일차 6재일, 49일차 49재일 이라고 칭합니다.

예전에는 7일차인 초재일부터 49일차인 49재일까지 모두 챙겼지만 시대가 바뀌고 모든 의식을 간소화하는 트렌드에 따라 49재일만 진행을 하는 것이 보편화되었습니다.

 

49재는 고인이 계신 고인을 모신 묘지, 절, 납골당이나 집 등 장소에 구애 없이 할 수 있습니다. 저희가족도 할머니를 모시기 위해 집에서 모셨습니다.

흔히들 40재를 40제로 잘못 알고 계신 분들이 많지만 재계할 재(齋)를 사용하여 49재라고 표기하는 것이 올바른 기재 방법입니다.

 

 

49재 금기사항

 

기본적으로 49재 기간 동안에는 고인에 대한 예의로 기쁜일, 즐기는일 등을 하는 것을 금기사항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음주가무, 부부관계, 경조사 참여, 여행 등은 자제하도록 합니다.

 

49재 계산법

 

고인의 사망일을 1일로 간주하고 49일째 되는 날이 49재가 됩니다. 중요한 것은 고인의 사망 다음날이 1일이 아니라 고인의 사망일을 1일로 포함시킨다는 점입니다.


직접 계산해 보는 방법도 있지만 아무래도 사람이 하기 때문에 온라인의 힘을 빌리는게 가장 좋습니다.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셔서 49재 계산을 자동하시면 됩니다.

 

 



49재란 의식은 평생동안 함께 했던 고인을 보내 드리기위한 마지막 예의입니다.
많은 가족분들이 참석하셔서 고인이 마지막 가는길을 꼭 함께 해주시길 바라겠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